중국 사신과 겨룬 떡 군자
카테고리
재치/지혜/배짱/바보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7
조회
63
중국 사신과 겨룬 떡 군자 |
줄거리 : 중국 사람과 겨룰 인자를 찾다가 떡 군자라고 하는 떡 잘 먹는 사람을 데려오게 되었다. 중국 사람과의 대결에서 떡과 연관지어 자기대로 해석하여 떡 군자가 이길 수 있었다. 또한 공작을 살찌우라는 중국의 주문을 받고 해결을 못한 채 고민하고 있던 중 황 정승이라는 사람이 죽으면서 한 말이 떠올라 이를 해결하였다. |
그전에 중국서 조선에 인자(隱者:숨어 있는 인재)가 많이 있단 말을 들었단 말여. 그래, "조선에 인자를 구해 오너라." 헌께 사방 여 곳곳마동 돌아 댕김서러 인재를 찾을라고 한께 인자가 있어야지? 그래 어디를 간께 군자가 하나 있다고 그래, 군자. 허, 그래 군자면 그래도 말만 들어도 아는 것 같잖아? 군자. 그래서 군자가 있다고 그래서 거기를 찾아가서 본께 떡 군자라, 떡 군자. 이름이 떡 군자. 그런께 근디 떡을 그렇게 잘 먹어. 그래서 떡 군자라고 이름을 지었어, 별명을. 그래 인저 인자는 데리고 오라고 하는디 구할 수가 없고 그런께 그눔을 가서, "너 지금 중국서 인자를 데려 오라 하는디 니가 가믄 뭐 묻는 대로 대답 하겄냐?" 한다고 그래. "그러믄 가자." 그래 인자 고놈을 델고 가 가지고는, "예, 인자 인자를 데려왔습니다." "그려?" 그러믄은 아무 날 중국하고 여 조선하고 서로 인자를 저 강가에서 저 짝에서 요렇게 높이 올라서고 요 짝에서 올라서고 강가에서 건네다 보고 요렇게 서 가지고 암호로 저 짝에서 중국서 암호로 요렇게 뭣을 하먼은 조선 인자가 맞추고 또 조선 인자가 그 암호를 하면 저 짝에서 또 맞추고 그래 가지고 인자 시합을 하기로 하고 강가에다 인자 높이 ...을 내고 해 가지고 사람이 올라서서 그 우게서 그 양쪽에서 해 가지고 하면 밑에서 인자 사람들이 많이 모여 가지고 큰 징, 메구 칠 때 치는 징 있잖아? 징. 그래 고놈을 인자 끝이 나면 고놈을 그냥 탕 치고 그렇게 해 가지고 시합을 하는 것이여. 그래 가서 이놈을 델고 가 가지고는 소원을 물은께 떡을 많이 먹어야 한다고. 그래서 떡을 찹쌀 한 말을 해 가지고 고놈을 준께 다 처먹어. 한 말을. 그래 다 먹고, "인자 됐냐?" 그런께, "되얐다."고 그래서 델고 나가 가지고 저 중국서 암호를 이렇게 하면 요 짝에서 떡 군자 놈이 맞춰야 되는 겨. 그런디 저 짝에 중국서 암호한 놈이 손가락 세 개를 요렇게 딱 추켜든께 요 짝에 떡 잘 먹는 눔이 다섯 개를 추켜들었어. 그런께 그냥 중국서 졌다고 징을 그냥 쾅 치거든. 허, 그래서 인자 끝났다고 그래, "어떻게 됐나?" 한께 저 짝에서, "삼강을 아나?" 손가락 세 개를 추켜들고, "삼강을 아나?" 한께 요 짝에서는 다섯 개를 추켜들고, "오륜까지 안다." 그런께 져 버렸어. 중국서. 그래 인저 어떻게 해석을 했냐 하면 이눔은 떡 잘 묵은 눔은, "저 짝 놈은 떡을 세 개를 먹었다고 하는디 나는 다섯 개를 먹었다. 그래서 저 짝에 중국 사람은 세 개를 먹었다고 하는디 나는 다섯 개를 먹었은께 이겼다." 그렇게 해석을 해 가지고. 그래 인자 져 버려 가지고는 또 도로 델고 와 가지고 떡을 해서 멕이고 그래서 이겼다고 좋다고. 인자 그래 며칠 있다가 또 재 번 하자, 그래 인자 재차 또 하는디 또 올라가서 양쪽에서 서로 건네다 보고 있는디 아 저 짝에 중국 사람이 배를 이렇게 만지거든? 그런께 가만히 요 눔이 생각해 본께 저 눔이 떡을 많이 먹었다고 배를 이렇게 만지는구나. 그래 요 짝 사람은 나는 잘 먹었다. 수염을 다듬었단 말야. 그래, 그래서 또 이겼어. 그 두 번을 이겨 가지고 조선에서 이겼어. 그래 가지고는 그 뭔 벼실을 줬다는디 그것은 잊어 버렸어. 그래 가지고, "그 조선에 인자가 많이 있구나." 그래 거식을 해 가지고 있는디 그러자 서울 황해, 황정승이라고 있어. 성이 황 간디 황해 황 정승이라고 아주 나라에서 아주 유명한 양반인디 그 양반이 어떻게 복이 없던지 아주 가난해 가지고 밥을 못 먹고살아. 그런께 지금 같으먼 도둑질이라도 해 가지고 먹을 텐디 그 양반은 마음이 곧아 가지고 자기가 그냥 배가 고파도 그렇게 해도 그렇게 높은 지위에 있어도 절대로 뭐 남으 것을 탐내고 하덜 안 혀. 그래 나라에서 가만히 본께는 그 양반이 참 어렵게 살거든. 그래, "그 양반 집이루 오늘 하루에 들어온 봉물 짐을 그 황 정승 댁이로 뫼셔라." 그래 나라에서 참 들어 본께 하도 딱하고 그런께 그 봉물 짐이 옛날에는 매일 몇 짐씩 들어온디 아 그 날은 봉물 짐이 하나도 안 들어와. 그 집이 준다고. 아 해가 다 넘어간께 뭣이 한 짐 들어오거든. 그래 받아 가지고 본께 계란이 한 짐 들어왔는디 곯아 부렀어. 그래 가지고 참 근근히 사는디 하루는 손님이 온다고 그 황 정승이 즈그 부인을 보고, "오늘은 우리 친구가 한 분 여기 찾아 온께 점심 식사를 해 줘야 되겄는디 이거 어떻게 해야 되나?" 부인하고 인자 의논을 한께 지금 쌀이 딱 긁어서 밥하면 그저 한 그릇뿐이 못 하겄다고 한께 그러믄 그 황 정승하고 두 분을 겸상해서 밥을 채리 갈라면 밥이 두 그릇 되어야 된디 쌀은 한 그릇밲이 못 남았어. 참 얼마나 가난했던지. 그래 가지고는 그날 손님이 온다고 한께 어떻게 뭐 반찬을 집에서 맨들고 해 가지고 인자 점심을 지었는디 점심을 해 가지고 겸상에다 해 가지고 갖다가 상을 놓고 요렇게 본께 어떻게 했냐 하면 주인 양반 밥그릇은 행주를 깨끗한 행주를 담고 그 위에다 이렇게 뚜껑만 이렇게 덮고 인제 그 손님 밥은 인제 겨우 고슬고슬하게 해 가지고 담고 해 가지고 뚜껑을 딱 덮어 가지고 가져왔어. 그런께 인자 알지, 이 양반은. '내 밥은 없다.' 인자 손님 밥만 있은께 인자. 그래 상을 갖다 놓고는 있은께 인자 주인 양반이 손님 밥그릇을 뚜껑을 열고 요리 비켜 놓고 아 인저 말하자면 내 밥그릇도 열어야 되는디, "아이 나는 지금 식사한 지가 얼매 안 돼 가지고 지금 통 밥 생각이 없다." 고 "그런께 그냥 어서 자시라."고 친구보고. 그런께 이 양반은 참말로 그런지 알고 자기 밥만 이렇게 먹고 있는디 이 양반은 인자 그 식사하는 것을 보고, "어서 자시라."고 그래 어떻게 부엌 있는 디로 가서 요렇게 본께는 아 그 부인이 뭣을 먹고 있어. 저그 부인이 그래 이거 참 그 쌀이 없어서 밥도 한 그릇을 못 담았는디 뭣을 먹고 있는지 사람 마음은 참 이상해, 글쎄. 그래 그것을 속으로 좀 이상하게 생각했단 말야. 그래 암말도 안하고 들어와 가지고 있다가 그 상을 물려내 가지고는 상을 갖고 와 가지고 본께 밥을 어떻게 조금만 거식하게 담은께 냄길라고 허다허다 그냥 냄길 수도 없고 한께 그 양반이 그냥 다 먹어 버렸어. 그래서 인저 상을 갖고 가서 내다 주고 들어와서 이야기하고 있다가 그 분이 어디 급한기 있다 그럼서 인자 떠나서 갔어. 떠나서 가 버렸는디 이 양반이 인저 자기 부인이 들어왔어. 그래 자기 부인보고, "당신은 아까 뭣을 먹었냐?"고 허, 그런께로 예, 다른 것이 아니고 그 물을 많이 부서 가지고 밥을 했더니 밥이 막 넘어 가지고 그 밥한 물이 넘어와 가지고-그전에는 그 흙으로 발라 가지고 솥을 걸었어. 그런께로 그 흙에가 누런 쌀뜨물이 하얀 쌀뜨물이 넘어 가지고 흙이 묻었단 말여. 그래서 그놈을 숟가락으로 요렇게 긁어 가지고 그놈을 먹었디야. 부인이. 그래 그 말을 들은께 참 마음이 그래 가지고 있었는디 몇 해 있다가 그 부인이 그 황정승이 세상을 떠나게 되얐어. 그래 몸이 아파 가지고는 누워 가지고 있은께 손님들이 모두 조문을 저 문안 와 가지고 보고 또 나가고 거식하고 한디 그 식구들이 그냥 황정승을 와서 들여다보고, "아이고 이대로 돌아가시면 우리들은 어떻게 살 거냐?" 고 험서 막 울고 서럽게 울고 야단인께는 황 정승이 뭐라고 했냐면, "거미만 먹고사는 공작도 사는디 산 입에 거미줄 안 칠 것인께 그렇게 알으라."고 아 그렇게 말하고는 세상을 떠 부렸어. 그래 인자 다 끝나고 오래 되얐는디 아 중국서 조선에 인자가 많다고 그런께로 공작을 한 마리 내보냄서, "이놈을 살을 통통하니 찌워 가지고 잘 키워 가지고 들여보내라."고 그래 그 공작을 한 마리 내보냈어. 그래 갖다 놓고 오만 것을 다 줘도 안 먹어. 뭔 괴기를 줘도 안 먹고 막 뭣을 맛있는 것을 맨들어가 줘도 안 먹고 아무 것도 안 먹어. 아이 큰일났어. 만약에 이거 쥑이먼은 큰일나는디 그래서 나라에서 가만히 생각해 본께 유명한 황 정승이 돌아가실 동안에 뭔 말씀이 있었는가 거 가서 좀 알아보라고. 그래 사람을 보내 가지고 거 가서 알아볼라고 황 정승 했던 얘기를 들어 볼라고 그 집으로 찾아가 가지고는 그 부인보고 그 돌아가실 때 무신 말씀한 일이 없냐고 하니께, "아 그래 우리 저기 곧 운명할 때 움시로 우리는 어떻게 살 거냐고 곡을 하고 운께 '거미만 먹고사는 공작도 산디 산 입에 거미줄 안 칠 것이다.' 그렇게 말씀한 일이 있다."고 그래서, "아이고, 됐구나." 하고는 거미를 막 잡아다 준께, 덜름 주서 먹고 덜름 주서 먹고. 그래 거미를 잡아서 멕여 가지고 살을 통통하니 찌워 가지고 중국으로 들여 보낸께, "아 조선에 인재가 많구나." 했대 그런 얘기가 있어. |
2000. 2. 8. 와동 현대아파트 경로당. 이정의(남, 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