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부군옥(韻府群玉)
카테고리
고서 및 고문서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7
조회
59
운부군옥(韻府群玉)
* 분 류 : 고서·고문서
* 구 분 : 시 유형문화재 제13호
* 소재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165-1
* 수 량 : 20권 10책
* 규 격 : 23.2×15.9㎝
* 재 료 : 한지
* 연 대 : 1437년(세종19)
* 형 태 : 목판본
* 저 자 : 유계문
* 내 용 : 운부군옥은 세종의 명으로 펴낸 이 책은 운(韻)으로 구분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元典)까지 소개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원본은 중국 원나라 때 음시부(陰時夫)가 운부군옥 20권을 편찬하였는데 운(韻)에 의하여 배열 편찬된 것으로서는 현존 최고의 서이다. 이 책은 세종이 1435년(세종17)에 강원도 감사 유계문에게 간행을 명하여, 강릉과 원주 두 곳에서 2년에 걸쳐 판각하여, 1437년(세종19)에 20권 10책으로 복각하였다. 본 운부군옥은 인쇄된 흔적으로 보아 처음 인쇄된 초쇄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조선초기 목판인쇄를 이해할 수 있어서 서지 적으로도 귀중 본으로 분류할 수 있는 책이다.
조선에서도 운부군옥을 본 따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선조 때 권문해가 20권 20책으로 우리나라의 운별 사전을 엮은 바 있다.
* 분 류 : 고서·고문서
* 구 분 : 시 유형문화재 제13호
* 소재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165-1
* 수 량 : 20권 10책
* 규 격 : 23.2×15.9㎝
* 재 료 : 한지
* 연 대 : 1437년(세종19)
* 형 태 : 목판본
* 저 자 : 유계문

* 내 용 : 운부군옥은 세종의 명으로 펴낸 이 책은 운(韻)으로 구분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元典)까지 소개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원본은 중국 원나라 때 음시부(陰時夫)가 운부군옥 20권을 편찬하였는데 운(韻)에 의하여 배열 편찬된 것으로서는 현존 최고의 서이다. 이 책은 세종이 1435년(세종17)에 강원도 감사 유계문에게 간행을 명하여, 강릉과 원주 두 곳에서 2년에 걸쳐 판각하여, 1437년(세종19)에 20권 10책으로 복각하였다. 본 운부군옥은 인쇄된 흔적으로 보아 처음 인쇄된 초쇄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조선초기 목판인쇄를 이해할 수 있어서 서지 적으로도 귀중 본으로 분류할 수 있는 책이다.
조선에서도 운부군옥을 본 따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선조 때 권문해가 20권 20책으로 우리나라의 운별 사전을 엮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