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풍아(靑丘風雅)
카테고리
고서 및 고문서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7
조회
64
청구풍아(靑丘風雅)
* 분 류 : 고서·고문서
* 구 분 : 시 문화재자료 제20호
* 소재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165-1
* 수 량 : 14권 2책
* 규 격 : 21×32㎝
* 재 료 : 한지
* 연 대 : 1531년(중종26)
* 형 태 : 목판본
* 저 자 : 김종직
* 내 용 : 조선 1473년(성종 4)에 김종직이 삼국시대에서부터 조선전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 명현들의 시를 126가의 각 체의 시 503수를 정선하여 실었다. 험벽(險僻)한 고사를 사용한 곳에는 그 본실을 간략하게 주로써 밝혔으며, 미심하고 난해한 어구에 대해서는 편자의 비평과 풀이를 붙이고 있다. 수록된 편수는 권1은 오언고시 50수, 권2는 칠언고시 40수, 권3은 오언율시 76수· 배율 8수, 권4 칠언율시 55수, 권5 칠언율시 51수·배율 3수, 권6 오언철구 35수·칠언절구 86수, 권7은 칠언절구 99수가 실려 있다. 이 책은 최숙정의 발문에 의하면 김종직이 편집에 착수하여 2년만에 출간하였다 한다. 현존하는 책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소장 갑진자본을 비롯하여 수종의 필사본이 있으나 갑진자본은 글자가 선명치 않고 훼손된 부분이 많으며 여타의 필사본 글도 완전하게 보존된 것이 드물다.
* 분 류 : 고서·고문서

* 구 분 : 시 문화재자료 제20호
* 소재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165-1
* 수 량 : 14권 2책
* 규 격 : 21×32㎝
* 재 료 : 한지
* 연 대 : 1531년(중종26)
* 형 태 : 목판본
* 저 자 : 김종직
* 내 용 : 조선 1473년(성종 4)에 김종직이 삼국시대에서부터 조선전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 명현들의 시를 126가의 각 체의 시 503수를 정선하여 실었다. 험벽(險僻)한 고사를 사용한 곳에는 그 본실을 간략하게 주로써 밝혔으며, 미심하고 난해한 어구에 대해서는 편자의 비평과 풀이를 붙이고 있다. 수록된 편수는 권1은 오언고시 50수, 권2는 칠언고시 40수, 권3은 오언율시 76수· 배율 8수, 권4 칠언율시 55수, 권5 칠언율시 51수·배율 3수, 권6 오언철구 35수·칠언절구 86수, 권7은 칠언절구 99수가 실려 있다. 이 책은 최숙정의 발문에 의하면 김종직이 편집에 착수하여 2년만에 출간하였다 한다. 현존하는 책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소장 갑진자본을 비롯하여 수종의 필사본이 있으나 갑진자본은 글자가 선명치 않고 훼손된 부분이 많으며 여타의 필사본 글도 완전하게 보존된 것이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