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의 역사문화

봉수관련 용어해설

카테고리
산성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7
조회
68
봉수관련 용어해설

 

* 봉경(封境) : 봉화를 올려 경보함.
* 봉군(烽軍) : 봉수군의 줄인 말.
* 봉대(烽臺) : 봉화둑. 봉화를 올리는 높은 대.
* 봉루(烽樓) = 봉대.
* 봉술(烽戌) : 봉화를 지키는 일.
* 봉졸(烽卒) : 봉화를 지키는 군사.
* 봉수(烽燧) : 봉은 밤에 올리는 봉화이고, 수는 낮에 올리는 봉연.
* 봉수군(烽燧軍) : 봉화를 올리는 일을 맡아보던 군사. = 봉군.
* 봉수대(烽燧臺) : 봉화를 올리던 곳. = 봉화둑.
* 봉연(烽煙) : 낮에 봉화를 올리는 연기.
* 봉자(烽子) : 봉수대를 지키는 병졸.
* 봉화(烽火) : 변란이 있을 때 변경에서 서울까지 경보를 알리는 불. 산꼭대기에서 불을 올리는데 미리 정한 신호로 알려 전하면서 중앙까지 올라감.
* 봉후(封侯) : 봉화를 올리는 돈대를 설치하여 적을 살피는 일.
* 거화(炬火) : 불을 일으키는 것.
* 거화(擧火) : 횃불을 올리는 것.
* 거화법(擧火法) : 위급에 따라 횃불을 올리는 규정.
* 거수(擧數) : 횃불을 올리는 수.
* 봉돈(烽燉) : 불을 붙이는 곳.
* 경봉수(京烽燧) : 중앙봉수, 목멱산(남산) 봉수.
* 내지(內地)봉수 : 중앙봉수에 연결되는 봉수. = 직봉
* 연변(沿邊)봉수 : 연안지역의 봉수. = 간봉
* 간봉(間烽) : 연변봉수.
* 직봉(直烽) : 내지봉수.
* 권설(權設) : 지역에 따라 진장에 설치하는 봉수.
* 주연(晝煙) : 낮의 연기.
* 야화(夜火) : 야간의 불빛.
* 연굴(煙窟) : 연기가 올라가는 굴뚝내부.
* 해망인(海望人) : 바다 주의를 간수하는 봉군.
* 길고 : 봉수의 다른 말.
* 연조(煙槽) : 불피우는 아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