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의 역사문화

조선시대의 관직[7]

카테고리
관직과 품계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8
조회
79
조선시대의 관직[7]

 

◎ 품계와 관련 관직
 

* 정1품 관 : 대군, 군(정1품∼종2품), 공신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府院)을 더한다.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의정이 겸하는 관직), 사, 부(師, 傅=사, 부는 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의정이 겸하는 관직), 위(尉=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1품 혹은 종1품을 제수), 감사(監事).

* 종1품 관 : 군(君), 위(尉),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학(규장각의 관직), 사, 부(師, 傅=세손 강서원의 관직

* 정2품 관 : 군(君), 위(尉=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 좌참찬, 우참찬, 판서, 대제학, 지사, 판교(규장각의 관직), 판윤, 좌빈객, 우빈객, 도총관.

* 종2품 관 : 군(君), 참판, 대사헌, 동지사, 관찰사(도의 감사), 좌윤, 우윤, 직제학(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3품까지), 유수, 목사(단, 광주목사에 한함), 제학, 좌부빈객, 우부빈객, 제조, 좌유선, 우유선(좌우 유선은 정3품까지), 대장(정3품까지), 부총관, 중군(정3품까지), 사(무관), 병마절도사(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 방어사(종3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 겸사복장, 내금위장, 별장(용호령).

* 정3품 관 : 부위(군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 첨위(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3품 까지), 도정, 대사간, 대사성, 참의, 부제학, 도청, 도정원정, 좌유선, 우유선, 첨지사, 직각(종6품까지),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제주, 찬선, 보덕, 겸보덕, 판결사, 대장, 정의 관직, 좌통례, 우통례, 판교, 수찬관, 편수관(종3품까지), 제검(종3품까지), 선전관(종9품까지), 별장(훈련도감), 천총(훈련도감), 상호군, 중군, 진영장, 목사, 사람위장, 부사(대도호부), 국별장, 별후부천총, 기사장, 관성장.

* 종3품 관 :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편수관, 참교, 상례, 익례, 내승(종9품까지), 제거, 제검, 부사, 대호군, 진영장(부사가 겸임), 절도사, 방어사, 첨절제사, 우후(정4품까지), 기사장, 선전관.

* 정4품 관 : 수정, 전첨,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진선, 필선, 겸필선, 사예, 사업, 봉례, 호군, 별제(수성 금화사의 관직), 첨정(종4품까지), 선전관, 도선, 우후, 제검(종4품까지).

* 종4품 관 : 경력, 별응교, 서윤, 수(사, 창의 관직), 부수, 교감, 부호군, 군수, 유영별장, 성기별장, 파총, 외방겸파총, 서전관, 제검 동첨절제사, 만호.

* 정5품 관 : 영(종친부의 벼슬), 전부, 검상, 정랑, 지평, 좌익위, 우익위,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겸교리, 문학, 겸문학, 직강, 기주관(종5품까지), 찬의, 별좌(종5품까지), 전훈, 전수, 사직, 지

* 종5품 관 : 부령(종친부의 벼슬), 판관, 도사(종9품까지), 별좌, 부교리, 좌권독, 우권독, 좌사어, 우사어, 기주관, 영(署, 宮, 庫등의 벼슬, 현령), 부사직, 선전관.

* 정6품 관 :  감(종친부의 벼슬),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사서, 겸사서, 전적, 기사관(정9품까지), 교검, 전악, 사회, 별제(종6품까지), 평사, 사과, 장원, 사포, 좌익찬, 우익찬.

* 종6품 관 : 주학교수, 별제주, 율학교수, 별제,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교수, 교수, 부응교, 좌찬독, 우찬독, 좌위솔, 우위솔, 좌장사, 우장사, 기사관, 인의, 부전악, 사축, 사지, 의학교수, 한학교수, 선화, 부전수, 영(陵의 벼슬), 찰방, 현감, 절제도위, 감목관, 종사관, 부장, 낭청(선혜청의 벼슬), 부사과, 수문장(종9품까지).

* 정7품 관 : 주서, 봉교, 대교(정9품까지), 박사, 사변가주서, 사경, 설서, 겸설서, 자의, 전율, 참군, 좌부솔, 우부솔, 낭청, 기사관, 수문장.

* 종7품 관 : 직장, 좌종사, 우종사, 사(호조의 벼슬), 명률, 부전률, 선회, 부사정, 별회

* 정8품 관 : 사록, 저작, 설경, 학정, 부직장, 좌시직, 우시직, 전음, 별검(종8품까지), 사맹.

* 종8품 관 : 계사, 심률, 봉사, 부전음, 별검, 전곡, 화리, 부사맹.

* 정9품 관 : 주학훈도, 율학훈도, 정자, 전경, 검열, 좌세마, 우세마, 학록, 부봉사, 전성, 천문학훈도, 지리학훈도, 명과학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학훈도, 사용.

* 종9품 관 : 회사, 부정자, 분교관, 학유, 겸인의, 가인의,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 부전성, 전화, 회리, 권관, 훈도, 심약, 검률, 부사용, 초관.


○ 지방관

외관 즉 지방관서의 직위로서 각도(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황해, 평안, 함경도 등 8도를 말함)에 관찰사(감사) 1명과 도사(都事) 1명씩을 두었고 각 고을에 따라서 부윤, 목사, 대도호부사, 도호부사, 군수, 현령, 현감 등의 수령을 두었으며 주요 도(道=길)의 역(驛)을 담당한 찰방 또는 역승(驛丞)을 두었다. 그리고 각도와 부(府), 주(州)등 큰 고을에 교수(敎授),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등 관직을 두었다.

* 종2품=부윤

* 정3품=목사 : 그런데 위에 있는 부윤, 목사의 고을로서 즉 관찰사가 있는 고을은 그 고을의 부윤이나 목사는 관찰사가 겸임하고 따로 두지 않는다.

* 정3품=대도호부사.

* 종3품=도호부사

* 종4품=군수.

* 종6품=현감 : 이상과 같이 외방 관직은 그 주읍(州邑)에 따라 조선 역대의 왕조를 거치는 동안 그 고을의 등급이 오르고 내리기도 하였던 것이며 그 외에 다음 관찰사가 있는 고을의 부윤, 목사를 관찰사가 겸임하고 있었으므로 그 대신 서윤(庶尹) 판관을 배치하고 있다.
* 종4품 = 서윤(庶尹) : 평양.

* 종5품 = 판관(判官) : 공주, 대구, 전주, 제주, 해주, 원주, 함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