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의 역사문화

이시직(李時稷)

카테고리
대덕의 인물
작성자
대덕문화원
작성일
2025-04-08
조회
43
이시직(李時稷)

 

() : 성유(聖兪)

() : 죽창(竹窓)

년 대 : 1572(선조5) - 1637(인조15)

관 직 별제정언장령

증 직 이조판서

거 주 지 회덕 송촌

유 적 충신정려(대덕구 송촌동)

 

 

이시직은 조선 중기의 문관·충신으로 호는 죽창(竹窓), 본관은 연안이다연성부원군 이석형의 6대손이고찰방 이빈의 아들이다연안이씨가 회덕과 연관을 맺기 시작한 것은 송여해(송유의 증손)가 이석형(이시직의 6대조)의 사위가 되는 인연에서 비롯되었다이후 이들 양 가문은 또 이정현(이시직의 조부)이 송세영(송준길의 증조부)의 사위가 되는 혼인관계를 맺게 되어 이시직도 송촌에서 살게 되었다.

 

 

이시직은 조호익과 김장생에게서 배웠고, 1623(인조1) 52세에 별제(別提)가 되었다이듬해 직장(直長)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그해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로 호종하였고이어 정언·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636(인조14) 병자호란 때 강화로 들어갔다가 강화가 함락되자 사복시 주부 송시영(회덕인)과 함께 자결하기로 약속하였다송시영이 먼저 자결하자 그는 시신을 붙들고 통곡하고묘 둘을 파서 그를 매장한 후 노복에게 다른 한 구덩이에 자신을 매장하도록 부탁하고옷을 벗어 객사의 주인에게 맡겨 이로써 염을 할 것과 후일에 그의 아들을 시켜서 시신을 거두어 장사 지내게 할 것을 부탁한 다음 스스로 활끈으로 목을 매어 죽었다이때 그의 나이 66세였다.

 

 

특히 아들에게 전하라는 편지글 중에는 "살신성인 하니 땅을 굽어서나 하늘을 우러러서 부끄러움이 없다."라는 말이 들어 있는데이는 그의 고결한 선비정신을 보이는 대목이다그 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목(忠穆)이다강화의 충열사와 회덕의 숭현서원에 배향되었다. 1638(인조16) 충신정문이 내려졌는데 그 유적이 대덕구 송촌동에 있다.